http://blog.naver.com/sabaino/40008562819
브랜디 (Brandy)
흔히 우리는 브랜디를 꼬냑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 불려진 것이다. 꼬냑은 프랑스의 지방이름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랜디가 워낙 유명한 탓에 사람들은 흔히 브랜디를 꼬냑으로 혼동하여 부르고 있는 것이다.포도 브랜디는 유럽 각지에서 생산된다. 프랑스에서는 코냑과 아르마냑(arma nac)에서 생산되는 브랜디가 세계적을 알려져 있다. 또한 노르망디 지방에는 사과주의 증류주인 칼바도스(Calvados)가 제조되며, 스위스, 독일에서는 버찌의 증류주인 키르쉬바서(Kirschwasser, 프랑스는 kirsch) 등이 생산되고 있다.
십자군 전쟁을 통해 아랍의 연금술사들로부터 전수된 증류기술이 아일랜드나 스코들랜드에서 위스키를 제조하였든 것과 마찬가지로 13세기경 프랑스에서도 브랜디를 제조하기 시작하였다. 브랜디는 어떻게 제조될까? 맥주를 증류하여 오크통에 숙성한 것이 위스키라면 와인을 증류하여 오크통에 숙성한 것이 브랜디이다.나라에 따라 기후와 조건이 달라 주로 생산되는 농산물에서도 차이가 있다. 영국에서는 포도 재배가 그다지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호밀을 이용한 위스키가 발전하였고, 포도주가 유명한 프랑스에서는 자연히 브랜디가 유명할 수 밖에 없었다. 프랑스의 포도주산지로는 보르도, 보르고뉴, 샹파뉴, 꼬냑, 아르마냑 지방이 손꼽히나 꼬냑과 아르마냑 지방의 포도는 기후와 토양의 영향으로 품질이 나쁘고 산도가 강하여 우수한 포도주를 생산하지 못하였다.17세기 후반 네델란드의 상인들은 꼬냑과 아르마냑 지방에서 생산되는 값싼 와인을 영국으로 수출하였다. 그러나 이 와인들은 보르도 지방에서 수입된 와인의 풍미에 눌려 판매되지 못하여 대량으로 체화되는 사태가 벌여졌다. 궁지에 몰린 상인들은 와인을 증류하여 저장하기로 했다. 처음에 증류한 거친 원액을 오크통에 저장한 브랜디는 색깔과 향과 맛이 훌륭한 전혀 새로운 술로 탄생한 것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보르도지방의 와인에 눌러 기를 펴지 못하던 꼬냑과 아르마냑 지방의 와인은 와인업자들에 의해 뜻밖에 브랜디로 탄생하여 그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 후 꼬냑과 아르마냑 지방에서는 와인보다 브랜디 제조에 힘쓰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브랜디는 1968년도에 한국산토리(현 해태산업)가 국산 포도를 원료로 하여 제조 저장하던 중 1975년 프랑스의 브랜디 제조회사인 헤네시(Hennessy)와 기술제휴하여 국산 브랜디와 헤네시의 원주를 혼합하여 생산하여 오다가, 1977년에 완전한 국산 브랜디로 대체 생산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수입되는 수 천 종의 브랜디에 밀려 거의 생산을 중단하였고, 해태앤컴퍼니에서만 국산브랜디를 생산하고 있으나, 이 또한 원액을 수입하여 단순 제성·병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다른 술과는 달리 브랜디를 구입할 경우에는 주위를 기울려 선택하여야 한다. 수 없이 많이 수입되는 족보도 없는 싸구려 브랜디가 X.O, 나폴레옹, 엑트트라 등 고급 등급으로 버젓이 수입되어 소비자를 현혹하면서 판매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브랜디의 등급은 생산지역과 숙성기간에 의해 주로 결정되어 진다. 하지만 같은 지역에서도 제조회사에 따라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들면 꼬냑의 경우 꼬냑지방의 각 회사별로 각자의 기준에 의해서 각각의 부호를 선택하므로서 회사별로 같은 X.O급이라도 같은 등급이라고 할 수 없으며, 또한 지역에 따라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상표에 표시된 등급을 명신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예를들면 6년 이상 숙성시킨 꼬냑상품은 무조건 X.O급을 써야하므로 6년이든 30년 숙성시켰던 모두 X.O급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꼬냑과 아르마냑 지역의 브랜디 외에는 브랜디의 등급규정이 없으므로 아무리 나폴레옹, X.O, 엑스트라급을 사용했더라도 뛰어난 품질의 브랜디라고는 할 수 없다.
1983년 꼬냑 사무국에서 숙성기간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호를 재정하여 숙성기간을 꽁트(Compte)로 표시하게 되었다. 숙성기간이 이듬해 4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해 4월 1일이면 1꽁트라 하고, 매년 1꽁트씩 추가된다.
(TIP) 나폴레옹과 코냑의 관계 코냑의 고급제품에는 으레 나폴레옹이란 글자가 따라붙는다. 이름의 주인공은 물론 프랑스의 정복 군주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이다. 나폴레옹 코냑과 무슨관계가 있을까? 나폴레옹은 부인 조세핀이 아이를 낳지 못하자 조카를 양자로 들였다. 그런데 조카는 얼마 있다 세상을 떠났다. 그 후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 왕녀인 마리 루이스와 재혼, 1811년 바라고 바라던 아들을 얻었다. 그 해에는 혜성이 나타났는데, 그 탓인지 포도농사도 대풍년이었고, 브랜디 제조업자들은 황태자의 탄생과 대풍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나폴레옹이라는 명칭을 상표로 표시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비교적 자신있는 품질의 제품에 나폴레옹이라는 표시를 사용한다.
국립 아르마냑 사무국에서는 꼬냑과 마찬가지로 숙성기간을 관리하고 있다. 대략 1년을 1꽁트로 하고, 1꽁트이하는 병입해서 팔 수가 없으며, 오크통 단위로만 판매해야 한다.
<자료출처:조호철의 주 이야기에서> |
'좋은글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동래산성의 누룩막걸리 "금정토산주" (1) | 2005.11.25 |
---|---|
천년고도 경주의 전통명주 "교동법주" (0) | 2005.11.25 |
와인에 대하여... (1) | 2005.11.25 |
위스키에 대하여... (0) | 2005.11.25 |
소주에 대하여... (0) | 2005.11.25 |
그러면 술을 어떻게 마실까? (0) | 2005.11.25 |
나는 아무래도 술을 끊어야겠다. (0) | 2005.11.25 |
본인의 주량 테스트하기 (0) | 2005.11.25 |